1. 글을 쓰는 방법에 문제가 있다. 방법이라 기보디는, 표현에 그런 점이 있는 것 같다.
어차피 평가는 타인이 내리는 것이므로, 스스로가 쉽게 썼다고 주장하더라도, 그건 주관일 뿐이다. 내가 쓰는 글은 심심찮게, "너무 어려워서 무슨 말을 하는 지를 잘 모르겠고, 그래서 눈만 깜박이다가 그냥 나가요." 하는 댓글을 보게 된다. 나 자신도 그런 점을 인식은 하고 있다. 그럼에도 쉬운 문체로 쓰는 게 쉽지가 않다.
타인의 평가를 굳이 기대하지는 않더라도, 읽히는 글을 작성하는 게 맞긴 맞다. 쉬운 문장은 3-4백 페이지라 하더라도, 하룻밤새 읽을 수 있다. 문제가 있다면, 이해를 충분히 마쳤음에도, 자신이 읽은 것이 아닌 것처럼 된다는 것이다. 친절하게 길을 보여주지만, 정도가 지나쳐 자기 생각을 확장하는 데 제한이 따른다는 것이다. 그러면 어려운 글은 그런 약점을 보완해 줄 것인가?
무슨 말인지도 모르는 판에, 무슨 생각을 넓히라는 말인가?
2. 그렇지만, 그런 난해한 내용은 다 읽을 필요는 없을 듯하다.
어려운 내용은 전 부분이 대단한 사상을 담았다기보다는, 단 두줄이라도 접하고 덮어버리면, 그것에 대해 생각을 하게 만든다. 그래서 그것은 오히려 자신의 글 읽기나, 자신의 생각으로 바뀌게 된다고 생각한다. 성경이나 불경처럼, 재미도 없고
추상적으로 쓰인 것을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에 다 읽어내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. 그것은 두고두고 탐독하는 것이다. 그래서 최종적으로는 제일 많이 읽히는 책이다. 의도적으로 비판을 피하기 위해 잘 알아듣지 못하는 언어를 구사하거나, 현학적 허세를 부리는 경우도 있지만, 생각하게 하는 것은 좀 다를 것이다. 쉬운 글은 분명 건너고자 하는 강가로 자연스럽게 이끈다. 그렇지만 저 건너편까지는 잘 데려다주지는 않는다. 반면에 어렵게 쓰인 것은, 강가로 쉽게 이끌어 주지는 않지만, 몇 줄만 가지고도 대안의 것을 느끼게 해 준다. 그래서 양자를 종합할 수 있는 길을 택해 볼 수도 있지만, 어차피 실패하게 된다. 자칫하면 강가가 아니라, 산으로 안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.
3. 하기 쉬운 말로, 어차피 몫은 각자에게 달려있다.
"그것도 이해 못 하면서...."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. 때로는 서술자 자신도 스스로가 이해하지 못하는 문구를 발견할 것이다. 그래서 어려운 내용은 단 두 줄만 읽고 집어던지면 될 것이라고 여긴다.
그리고서는 그 짧은 문구가 던지는 바를 생각해 보는 게 차라리 낫다. 몰입해서 읽는 책은 수월하게 손에서 끝나지만, 그렇지 않은 것은 머릿속에서도 떠나질 않는다. 그러니 경제적으로 따지면 어떤 게 더 나은가?
게다가 제2의 서술자로 참여시켜 주는 데...
예전에는 소설이 참 재미가 있었고, 그 속에 깔린 복선을 찾아내는 게 흥미로웠다. 그런데 그 장르는 전개 방식의 차이로, 난해한 책으로 따지면, 단 두줄의 사상을 펼쳐내는 것이었다. 그러니 그 책이 나온 시대적 배경 정도만 참고해도 이해하기가 쉬웠다.
그런데 여전히 강가 근처에만 있는 게 아닌가!
그래서 저 피안을 보고자 다른 방향으로 손을 대기 시작한 것이다. 물론 마찬가지이다. 강 건너가 잘 보이지 않는다. 그렇지만, 그 근방까지는 스스로 와닿았다는 생각은 든다. 암튼 양자를 종합할 수 있는 방법을 두드려봐야 하겠다.
'문화연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모두가 떠난 자리 (2) | 2024.06.08 |
---|---|
새로운 것을 던져줄까? (0) | 2024.06.06 |
갈 데까지 가는... (2) | 2024.05.31 |
대화는 일방적 전달이다 (3) | 2024.05.30 |
작작 뜯어 먹으세요 (0) | 2024.05.29 |